새벽코딩

[PostgresDB-2] 11. 테이블 조인 (JOIN - INNER JOIN) 본문

Programming/Postgres DB

[PostgresDB-2] 11. 테이블 조인 (JOIN - INNER JOIN)

midnightcoder 2022. 12. 21. 09:13

- JOIN 은 언제 쓰일까?

: 각각의 Table에 나누어져 있는 데이터를 함께 보여주려 할때 JOIN을 사용한다.

예) 인스타그램에서 사용자 + 댓글 나타낼때

 

- JOIN의 종류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.

1) INNER JOIN

2) OUTTER JOIN

   - FULL JOIN

   - LEFT JOIN

   - RIGHT JOIN

 

 

 

- INNER JOIN 방법

아래 쿼리는 사용자(users)와 댓글(comments) 정보를 합쳐준다.

조인 조건을 줘서 대상을 찾고 (users.id = comments.user_id), 조건을 바탕으로 두 테이블을 연결

결론은, 두 테이블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서 가져온다.

 

두 테이블의 교집합인 안쪽 영역을 가져와 조인하는 것을 INNER JOIN 이라고 한다.

 

 

출처 : 홍팍의 'SQL 데이터 분석, 활용!'