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subquery
- postgres
- 몽고디비
- 서브쿼리
- PreparedStatement
- query
- python데이터베이스연동
- 파이썬
- javascript
- Join
- python
- PostgreSQL
- MySQL
- DATABASE
- MongoDB
- 데이터베이스
- sqlite3
- Collections
- insert_into
- 자바스크립트
- statement
- PostgresDB
- SubqueryFilter
- sql
- insertOne
- 밴쿠버응급실
- DBFilter
- onetoone
- cursor()
- DB
- Today
- Total
목록node_modules (2)
새벽코딩

- node modules 삭제 node modules은 많은 파일이 포함되어 있어서 삭제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. 하지만, 터미널에서 간단하게 삭제하는 방법을 소개한다. 먼저, 패키지를 설치한 후에 npm install rimraf -g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, 순식간에 삭제된다. rimraf node_modules - node modules을 git commit 시에 제외 또한, 리모트 repository에 올라가는 것을 막기위해서,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. 1) 프로젝트 최상위 위치에 .gitignore 파일 생성해준다. (맨앞에 점 주의) 2) .gitignore 파일안에 제외할 내용 입력 후 저장 지금의 경우 node_modules 폴더를 제외해야하므로, 아래와 같이 저장 /node_modules

프로젝트를 하다보면, 굳이 깃허브 원격저장소에 업로드 할 필요없는 파일들이 있다. 예를들면 node.js 패키지인 node_module 이나, 가상환경 설정시 venu 안에 파일 등등.. (참고로 node.js 패키지 생성 및 실행 명령은 아래와 같다) npm init npm start 이런경우 .gitigonore파일을 생성하고, 그 안에 제외하고자 하는 경로를 설정해주면된다. 좌측에 week1_mern_demo 프로젝트 안에 client와 server 두가지 폴더가 존재하는데, 각각의 폴더 안에는 node_modules가 존재한다. 이경우 week1_mern_demo 폴더안에서 1. 파일생성 2. 파일이름 → .gitignore 3. 파일 안에 아래와 같이 입력 /server/node_modules/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