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2 | 3 | 4 | |||
| 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DATABASE
- MongoDB
- SubqueryFilter
- postgres
- 데이터베이스
- insertOne
- subquery
- PostgreSQL
- 몽고디비
- python
- 서브쿼리
- sql
- onetoone
- Collections
- MySQL
- insert_into
- DBFilter
- Join
- cursor()
- python데이터베이스연동
- PostgresDB
- sqlite3
- statement
- query
- PreparedStatement
- DB
- javascript
- 밴쿠버응급실
- 파이썬
- 자바스크립트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70)
새벽코딩
1) Instance variable (인스턴스 변수) class Car : name = "" speed = 0 위 class에 있는 변수 name과 speed는 인스턴스 변수이다. 인스턴스 변수는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사용할 수 있는 변수이다. (즉 아직 실제 공간이 할당되지 않음) 이제 이 설계도 (class)를 이요해 메인 코드 부분에서 자동차 (instance)를 만든다. car1 = Car() car2 = Car() 이제 car1과 car2 는 실제 존재한느 자동차이며, 이 안에는 color와 speed의 메모리에 공간이 만들어 졌다. ** 결론 : 인스턴스 변수는 메모리의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, 반드시 인스턴스를 생성해야지 사용할 수 있다. 2) class variable (클래스 변수..
1) 생성자의 개념 - 생성자(Constructor)는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무조건 호출되는 메서드 이다. - 인스턴스를 생성하면서, 필드값을 초기화 하는 역할을 하는 메서드 이기도 하다. class Car: color = "" speed = 0 def upSpeed(self, value): self.speed += value def downSpeed(self, value): self.speed -= value def printFields(self, myCar): print("%s의 색상 : %s, 속도 : %dkm" % (myCar, self.color, self.speed)) if __name__ =="__main__": myCar1 = Car() myCar2 = Car() myCar3 = Car() ..
1) Car 클래스 정의 class Car: color = "" speed = 0 def upSpeed(self, value): self.speed += value def downSpeed(self, value): self.speed -= value (위 코드는 run 해도 아무것도 출력 되지 않는다. 단지, Car 클래스의 설계도이다. (== 붕어빵 틀) ) 먼저 self 에 대해서 알아보자 (java 에서 this와 동일) self는 클래스 자기 자신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, self.speed 는 speed 를 의미한다. 즉, 자신의 클래스에 있는 speed 맴버변수(필드) 라고 해석하면 된다. self는 객체를 생성해야 활성화된다. class 에는 메서드나 멤버변수(필드)는 얼마든지 추가, 삭제 ..
Input 태그는 사용자가 입력을 할 수 있는 태그이다. 아래와 같이 여러 종류의 input이 존재한다. - input에 뭔가 입력시 코드를 실행하려면, onChange 또는 onInput 과 같은 event handler를 사용한다. { 실행할코드 }}/> 그 외에, onMouseOver = { }# 이 요소에 마우스를 댔을 때 안의 코드 실행 onScroll = { } # 이 요소를 스크롤했을 때 안의 코드를 실행 등등 많이 존재한다. - input에 입력한 값 가져오는 방법 { console.log(e.target.value) }}/> onChange 안에 함수에 파라미터로 e를 추가해주고, e.target.value라고 적으면 현재 에 입력된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 참고로 e.target 이러..
똑같은 html 이 반복적으로 출현하면, 반복문을 이용해서 코드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. 단, 흔히 사용하는 for 반복문은 JSX 중괄호 안에서 사용할 수 없어서 map() 함수를 대신 사용한다. -. 자바스크립트 map 함수 쓰는법 모든 array 자료 우측에 map() 함수를 붙일 수 있다. 1) array 자료 갯수만큼 함수안의 코드를 실행해준다. [1,2,3].map(function(){ console.log(1) }) 위에 array에는 3개의 자료가 들어있다. (1, 2, 3) 그래서 console.log(1) 에 의해서, 1이 세번 출력이 된다. 2) 함수의 파라미터는 array안에 있던 자료를 하나씩 불러온다. [1,2,3].map(function(element){ console.log..
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(Parameter)와 인자(Argument)는 자주 사용되는 용어인데,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- 매개변수(Parameter) : 함수의 정의에서 전달받은 인수를 함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변수 - 인수, 인자(Argument) : 실제로 함수가 호출될 때 함수로 값을 전달해주는 값 - 매개변수와 인수의 차이 - 키워드 인자(keyword parameter) :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의 값 뿐만 아니라, 그 이름까지 명시적으로 지정해서 전달하는방법 def print_profile(name, age, company): print(name, age, company) print_profile(name="호날도", age=40, company="알아인(사우디)") print("..
1) 문자열 왼쪽 공백 제거 : lstrip() 함수 statements = " hello" # 왼쪽 공백만 제거하는 함수 : lstrip() print("before removing left space:" + statements) print("after removing left space :" + statements.lstrip()) 2) 문자열 오른쪽 공백 제거 : rstrip() 함수 # 오른쪽 공백만 제거하는 함수 : rstrip() print("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") statements = " hello " print("before removing right space:" + statements) print("after ..
# 입력받은 문자열 거꾸로 출력하는 프로그램 statements = input("문자열을 입력하세요 >>") s_reverse = "" # for 문을 활용한 방법 for ch in statements: s_reverse = ch + s_reverse print("입력한 문자열 : " + statements) print("역순으로 출력한 문자열 : " + s_reverse) # 문자열을 -> list 형태로 변환 : list() 함수 사용 print("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") s_list = list(statements) # print(type(s_list)) print(s_list) # reverse() 함수 사용 : 리스트 타입만을 역순으로 바꿔주는 함수..